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6

화석의 종류와 화석화 작용 기원 및 종류 지구상에 가장 오래된 생물체 증거로 박테리아와 원시 남조류(blue-green algae)로 생각되는 현미경적 탄질물체가 그린란드 남서부에 발달된 이수아(isua) 변성암 복합체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38억 3천만년의 절대 연대치 (absolute time scale)가 얻어졌다. 확실한 생물기원은 오스트레일리아 서부에 발달한 Warrawoona 층군(層郡)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와 함께 발견된 탄질물 유기체(35억년)와 남아프리카 Barbeton 근처에 분포하는 big tree formation의 chert층(層)에서 발견된 박테리아와 남조류 화석(32억년)이다. 동물성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미(美) 그랜드캐년 (Grand canyon)에 발달한 kwagunt층.. 2022. 4. 23.
지구의 생성설과 지층 누중의 법칙 지구의 생성설 18세기 말에서 19세기초기에 일어난 산업혁명시기에 지하자원개발 특히 석탄의 채굴이 대규모로 진행되었다. 이 지층에서 발견된 고생물을 이용하여 지구의 변화에 대한 학설을 프랑스의 고생물학자이며 정치가인 큐비에(George Cuvier, 1769-1832)와 영국의 지질학자 버크랜드(W. Buckland, 1784-1856) 등이 주장하였다. 이는 옛날에는 현재에 볼 수 없는 격심한 이변(異變)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노아의 홍수와 같은 천재(天災)는 지질시대에 몇 번이고 일어나고 그때마다 생물이 멸종하면 신이 또다시 새로운 생물을 만들어 낸다는 학설로서 생물의 진화를 인정하지 않고 천변지이설 또는 급변설 (catastrophism)의 사상을 제시하였다. 이 당시에는 지구의 연령은 1.. 2022. 4. 23.
지구의 역사와 지구환경 지구의 역사와 지구환경 환경(environments)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21세기에 이르러 매우 강조되고 있다. 지금의 화석연료(fossil fuels)에 의한 수질, 대기 오염이 주 대상이며, 인간(人間)의 물질문명의 발달에 따른 소음공해 등이 인간(人間) 생활의 여러 곳에 쌓여가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오염의 원인은 인간문명의 발달에 의한 급격한 환경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지구의 탄생 이래로 지구는 변화, 진화를 하면서 크고 작은 환경의 변화가 자주 발생하였다. 생물의 대량 멸종 현상을 만들어낸 거대한 사건(일명 Big five)을 포함하고 이에 따른 공룡의 멸망, 빙하기, 간 빙하기에 의한 해수면의 상하운동, 지각 변동 등에 의한 환경의 변화는 지구상에 수 없이 일어났다. 그러나 지구는 긴.. 2022. 4. 23.
퇴적구조와 적점토 퇴적 구조와 적점토 퇴적구조 심해저 수중 카메라와 같은 해저 탐사 장비에 의해 심해저변에 ripple marks, scour marks 등이 관측되었다 (Menard, 1952; Heezen et al. 1959) . 이들은 저층류(bottom current)의 정보를 제시해 준다. 4-40cm/sec의 유속이 이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 유속은 저층 퇴적물을 움직이게 하기에 충분한 유속을 나타낸다. 또한 코아(cores)에서 다양한 해류 흔적(current markings)이 보존되었음이 보이고 어떤 경우는 교차층(cross-bedding)의 흔적이 나타난다. 과거에 해류의 존재, 또한 현생 퇴적물 표면 위에 리플(ripples)은 일시적인 해류의 존재를 나타낸다. 입도(grain size)는 최소 유속.. 2022. 4. 23.
외양성 퇴적물(Pelagic Deposits) 외양성 퇴적물(pelagic deposits) 적갈 점토(red brown clay) 생물성 물질이 30% 이하로써 대부분이 적갈색을 나타내는 점토(clay)규모의 입자 (2㎝)로 구성되었고, 육상기원의 잔류 퇴적물이다. 다른 주 요인은 화산재(volcanic ash)와 외해잔해 (cosmic spherules)이며 탄산량은 20% 이하이다. 적색 점토(red clay)는 철분(iron)의 산화작용(oxidation)의 결과이다. 자생 발생 퇴적물(authigenic deposits) 망간 단괴 (manganese nodules)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최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넓게 분포하는 일종의 자생 발생적 퇴적물(authigenic deposits)이다. 노두는 단절된 퇴적작용(depositi.. 2022. 4. 23.
심해저 퇴적환경 심해저 퇴적환경 심해저는 지표면 60%에 해당하는 해역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연구가 되었고 미 해양연구소 주도하에 DSDP(Deep Sea Drilling Project)가 수행되었다. 전쟁 전후 많은 수심측량(echo sounding)에 의하여 다양한 해저의 신비를 발견하여 중앙해령(mid-oceanic ridge)을 조직적으로 발견하여 설명하게 됐다. 굴절(refraction)에 의한 음파침투(sound penetration)가 넓은 심해저에 사용되었다. 처음에 지진파 횡단면(seismic profiles)이 해저표면과 지층을 나타내고 주요지점에서 많은 시추작업(drilling)으로 더욱 확실하게 해석되는데 사용되었다. 해저지형(topography) 판구조론을 포괄하며 심해 지형의 주요특성을.. 2022. 4. 23.
대륙사면과 대륙대의 퇴적 환경 대륙사면과 대륙대의 퇴적 환경 지형과 형태 이 지역에서의 대표적인 지형은 해저협곡(submarine canyon)과 심해 선상지(submaine fan)이다. 또한 선상지에는 선상지계곡(fan valley)이 발달하고 있다. 여기서 해저협곡과 선상지 계곡과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주요점은 경사의 갑작스러운 변화와 선상지계곡에서 제방(levee)의 존재여부로 결정된다. 육지에서는 빠른 하천의 흐름에 의하여 절단된 협곡(canyon)이 연안을 지나서 삼각주같은 지형을 만들고 대륙붕에도 이른다. 반면에 해저협곡(submarine canyon)도 많은 해양지질학자들에 의하여 육상의 협곡처럼 경사가 비교적 큰 대륙사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저탁류(turbidity current) 같은 작용.. 2022. 4. 22.
대륙붕의 기원(Shelf Origin) 대륙붕의 기원(shelf origin) 앞서 여러 가지 대륙붕 형태의 기원을 설명하였다. 전반적으로 대륙붕을 고려하지 않았다. 왜 이같이 낮은 platforms가 세계 모든 해안에 형성되고 경사의 확실한 증가와 함께 해양 방향으로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문제를 추정해보면, 과거의 가설 (old hypothesis)은 파랑(wave)이 해안을 파괴하고 wave-cut 해빈들(beaches)을 만들고 후퇴한 육지로부터 파괴된 퇴적물은 파도에 의해 형성된 단애 (wave-built terrace)로 wave-cut 해빈의 해양방향에 퇴적되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반론으로 대륙붕 외부 여러 지역에서 암석이 발견되고 특히 대륙 사면에서도 암석이 발견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강한 파도가 작용했다는 것과는 상반적으로.. 2022. 4. 22.
대륙붕의 퇴적환경과 형태 대륙붕의 퇴적 환경 정의 대륙붕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많은 논란이 있고 확실하게 일치된 정의를 할 수 없다.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주로 수심에 의해서 해안으로부터 수심 100 fathom(600ft) 깊이까지로 통상 사용되었다. 이는 수심 100~200m 정도에 나타나는 가장자리 (edge)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정의는 적절하지 못하였고, 1945년 미 트루만 대통령이 미 대륙붕 광물 자원권을 천명할 때보다 확실해졌다. 세계 지도 시험은 대부분을 해안을 떠나 해저 경사도는 심해저에 이르는 경사도에 갑작스런 변화를 나타날 때까지 완만하게 경사를 이룬다(제 3장 참조). 변화하는 평균 수심은 약 123m에서 나타나고 다른 변화 수심은 약 900m에서 나타난다. 해양 지질학회지의 국제적 모임에서 대.. 2022. 4. 22.
대륙 연변부 퇴적환경과 대륙 연변부의 분류 대륙연변부 퇴적환경 -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 지구 표면의 70.8%가 해수로 덮여있고, 대륙붕은 5.5%를 차지하고 기타 대륙 사면(slope), 대륙대(rise)와 심해가 65.3%를 차지한다. 대륙붕은 연안(coasts)과 더불어 인류문화에 기여한 곳이다. 에너지 위기 시에 서방세계(the western world)에 중요한 역할을 해주었다. 석유(petroleum)와 가스(gases)의 많은 양을 공급해 주었고 현재에도 많은 양을 공급하고 있다(예, 미 걸프 해안의 대륙붕, 북해, 산타바바라 근처의 켈리포니아의 외해, 황해 등). 이외에도 많은 대륙붕이 존재하며 미래에도 무한한 자원의 공급원이 될 것이다. 일반적 특성 대륙연변부는 육지와 심해분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분에 해당된다. 상부의 대륙붕.. 2022. 4. 22.
연안퇴적 환경 - 해빈(Beach) 연안퇴적 환경 III-해빈(Beach) 지형과 분포 해빈(beach)이란? 상부 파랑한계로부터 저조선까지 분포되어 있는 미(未) 고화된 퇴적물 지역으로 정의한다. 육지 방향경계는 통상 경사 또는 구성물질의 급한 변화가 일어나는 지역, 즉, 해안사구, 암석 노두 등이며, 해양방향으로는 해빈을 지나 근해(nearshore)사이에 사퇴(bar)나 골짜기(trough)가 존재하는 곳까지이다. 연안은 판구조론과 연관시켜서 3가지로 분류한다. 1. 충돌연안(collision coast) : 판이 수렴하는 곳(예, 북, 남미 서부해안) 2. 견인연안(trailing edge coast) : 해안이 확장대 (spreading zone)에 접하는 곳(예, 북, 남미 동해안) 3. 연근해 연안 : 호상열도와 만나게 되는 .. 2022. 4. 22.
퇴적작용(sedimentation processes) 퇴적작용(sedimentation processes) 조간대 지역에서 퇴적물 이동 작용은 고조면에서 저조면까지의 평형면으로 분포되어있다. 퇴적물 이동은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밑짐(bedload)과 뜬짐(suspension) 상태로 운반되고 이 양상(modes)의 변환상태 (transitional zone)로 운반되는 3가지 modes로 구별된다. 뜬짐 과정(suspension) 퇴적물의 이동에 관한 기작(mechanism)은 하구 퇴적 환경과 비슷한 상태이며 부유물질의 상승(밀물) 동안에 조간대 지역에서 일어나 최고조 시간주변에서 정조(slack water)시기에 퇴적된다. 이는 조류의 증가 그리고 주기적인 파랑 작용들에 따라 재부유되기도 한다. 부유퇴적물 기원은 2가지(외해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조간대.. 2022.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