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학 세계116 대륙붕의 퇴적환경과 형태 대륙붕의 퇴적 환경 정의 대륙붕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많은 논란이 있고 확실하게 일치된 정의를 할 수 없다.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주로 수심에 의해서 해안으로부터 수심 100 fathom(600ft) 깊이까지로 통상 사용되었다. 이는 수심 100~200m 정도에 나타나는 가장자리 (edge)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정의는 적절하지 못하였고, 1945년 미 트루만 대통령이 미 대륙붕 광물 자원권을 천명할 때보다 확실해졌다. 세계 지도 시험은 대부분을 해안을 떠나 해저 경사도는 심해저에 이르는 경사도에 갑작스런 변화를 나타날 때까지 완만하게 경사를 이룬다(제 3장 참조). 변화하는 평균 수심은 약 123m에서 나타나고 다른 변화 수심은 약 900m에서 나타난다. 해양 지질학회지의 국제적 모임에서 대.. 2022. 4. 22. 대륙 연변부 퇴적환경과 대륙 연변부의 분류 대륙연변부 퇴적환경 - 대륙붕, 대륙사면, 대륙대 지구 표면의 70.8%가 해수로 덮여있고, 대륙붕은 5.5%를 차지하고 기타 대륙 사면(slope), 대륙대(rise)와 심해가 65.3%를 차지한다. 대륙붕은 연안(coasts)과 더불어 인류문화에 기여한 곳이다. 에너지 위기 시에 서방세계(the western world)에 중요한 역할을 해주었다. 석유(petroleum)와 가스(gases)의 많은 양을 공급해 주었고 현재에도 많은 양을 공급하고 있다(예, 미 걸프 해안의 대륙붕, 북해, 산타바바라 근처의 켈리포니아의 외해, 황해 등). 이외에도 많은 대륙붕이 존재하며 미래에도 무한한 자원의 공급원이 될 것이다. 일반적 특성 대륙연변부는 육지와 심해분지를 연결시키는 중간부분에 해당된다. 상부의 대륙붕.. 2022. 4. 22. 연안퇴적 환경 - 해빈(Beach) 연안퇴적 환경 III-해빈(Beach) 지형과 분포 해빈(beach)이란? 상부 파랑한계로부터 저조선까지 분포되어 있는 미(未) 고화된 퇴적물 지역으로 정의한다. 육지 방향경계는 통상 경사 또는 구성물질의 급한 변화가 일어나는 지역, 즉, 해안사구, 암석 노두 등이며, 해양방향으로는 해빈을 지나 근해(nearshore)사이에 사퇴(bar)나 골짜기(trough)가 존재하는 곳까지이다. 연안은 판구조론과 연관시켜서 3가지로 분류한다. 1. 충돌연안(collision coast) : 판이 수렴하는 곳(예, 북, 남미 서부해안) 2. 견인연안(trailing edge coast) : 해안이 확장대 (spreading zone)에 접하는 곳(예, 북, 남미 동해안) 3. 연근해 연안 : 호상열도와 만나게 되는 .. 2022. 4. 22. 퇴적작용(sedimentation processes) 퇴적작용(sedimentation processes) 조간대 지역에서 퇴적물 이동 작용은 고조면에서 저조면까지의 평형면으로 분포되어있다. 퇴적물 이동은 바닥을 따라 이동하는 밑짐(bedload)과 뜬짐(suspension) 상태로 운반되고 이 양상(modes)의 변환상태 (transitional zone)로 운반되는 3가지 modes로 구별된다. 뜬짐 과정(suspension) 퇴적물의 이동에 관한 기작(mechanism)은 하구 퇴적 환경과 비슷한 상태이며 부유물질의 상승(밀물) 동안에 조간대 지역에서 일어나 최고조 시간주변에서 정조(slack water)시기에 퇴적된다. 이는 조류의 증가 그리고 주기적인 파랑 작용들에 따라 재부유되기도 한다. 부유퇴적물 기원은 2가지(외해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조간대.. 2022. 4. 22.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9 다음